공공임대주택은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가구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주거 복지 제도입니다.
2025년 공공임대주택을 신청하려면 일정한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공공임대주택은 국민임대주택, 영구임대주택, 행복주택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가구원 수와 소득 유형에 따라 자격 요건이 달라지므로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공공임대주택 소득기준 (2025년도)
가구원수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유형별) | ||
매입임대 (50%) | 국민임대 (70%) | 행복주택 (100%) | |
1 | 2,518,715 | 3,238,348 | 4,317,797 |
2 | 3,286,202 | 4,381,602 | 6,024,703 |
3 | 3,813,487 | 5,338,881 | 7,626,973 |
4 | 4,289,044 | 6,004,662 | 8,578,088 |
5 | 4,515,524 | 6,321,734 | 9,031,048 |
6 | 4,866,543 | 6,813,160 | 9,733,086 |
공공임대주택 소득 기준은 매년 정부에서 발표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2025년의 경우, 2024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참고하여 결정됩니다.
공공임대주택 소득기준 계산법
공공임대주택 소득 기준 계산시 근로소득 뿐만 아니라 사업소득, 재산소득, 연금소득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1) 공공임대 소득 계산 공식
월평균 소득 = (가구 전체 소득 ÷ 12개월) ÷ 가구원 수
여기서 가구원 수는 신청자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 직계 존·비속, 형제·자매 등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을 포함합니다.
(2) 예시: 3인 가구 공공임대 소득 계산
- 가구원: 본인, 배우자, 자녀 1명
- 근로소득: 250만 원 (본인) + 200만 원 (배우자) = 450만 원
- 기타 소득: 없음
- 월평균 소득: 450만 원 ÷ 3명 = 150만 원
이 경우,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라면 국민임대주택 신청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 기준도 충족해야 하므로 소득 외에도 다른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공공임대주택 신청 꿀팁
공공임대주택을 신청할 때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신청 시기와 서류 준비입니다. 다음은 공공임대주택 신청 시 반드시 챙겨야 할 꿀팁입니다.
✅ 1) 소득 기준 충족 여부 미리 확인하기
공공임대주택 신청 전에 LH(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소득 기준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면 본인의 소득이 기준에 맞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재산 기준도 함께 고려하기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부동산, 자동차 등) 기준도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차량 가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탈락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청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 3) 소득 증빙 서류 철저히 준비하기
신청 시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건강보험 납부 내역서, 사업소득 신고서 등의 서류가 필요합니다.
✅ 4) 경쟁률이 낮은 지역을 공략하기
수도권 인기 지역은 경쟁률이 높아 당첨 확률이 낮습니다. 반면, 지방 공공임대주택은 경쟁률이 낮아 당첨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5) 1순위 자격 요건 충족하기
공공임대주택은 1순위 신청자가 우선 배정됩니다. 1순위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어야 하며, 해당 지역 거주 기간이 길수록 유리합니다.